본문 바로가기
매일 해내는 개발/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 느낌표 두개 문법

by 해야지 2023. 3. 11.
반응형

JavaScript에서 !! 연산자는 값을 불리언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값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피연산자의 값을 불리언으로 변환한다. 이후에, 불리언 값이 true일 경우 true를 반환하고, false일 경우 false를 반환한다. 즉, 이 연산자는 항상 불리언 값을 반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const myValue = 'hello';

console.log(!!myValue); // true

위 코드에서 !!myValue는 'hello' 값을 불리언으로 변환한 후, true를 반환한다.
그게 무엇이든 null이나 undefined가 아니고 값이 존재하면 true를 반환한다.

따라서  !! 연산자는 변수나 속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다음과 같이 변수가 선언되어 있지 않은 경우,
!! 연산자를 사용하여 변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f (!!myVariable) {
  // myVariable이 존재하는 경우 실행될 코드
}

이 코드에서 !!myVariable는 myVariable 변수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true를 반환한다. 따라서, if 문의 조건식은 myVariable 변수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참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