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웹사이트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 서버: 내가 웹사이트에 뭔가를 요청(request)를 보내면 그에 대한 응답을 주는 것.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
- 클라이언트: 나 + 브라우저.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 ↔(서버).
- route: 길을 안내해 주는 것. 요청이 들어오면 이리로 가세요 안내해주는 역할
- localhost : 내 컴퓨터를 가르키는 호스트이름. 주소는 127.0.0.1
- 프레임워크: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것.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하나의 뼈대 역할을 한다.
localhost:5000에서 5000이란?
내 컴퓨터가 열려있다면 모두에게 노출되므로 난 이 컴퓨터의 모든 걸 열어놓고 어떤 요청들만 막을거야 보다는
모든 걸 막아놓고 조금씩만 열어주는게 보안 적으로 좋다.
그래서 port를 사용한다.
port = 항구
서버가 한반도라면 한반도에 들어올 수 있는 항구가 여러개 있다. 부산항, 인천항...
서버에서는 항구를 번호로 구분한다. 5000은 항구 이름
localhost를 오픈해버리면 내 컴퓨터에 모두 다 들어 올 수 있어서 위험하니까
5000번 항구로 들어오는 것만 허락해준다. loacalhost:5000으로 들어올 수 있음(서버로 들어올 수 있는 고유번호)
나는 5000을 지정한 적이 없는데?
사실은 지정했따.
app.py에서 def란?
def: definition(정의) 파이썬에서의 함수
이런 일들을 할 수 있도록 정의함. def 의 결말은 return이다.
render_template이란?
- render : 만들게하다, 주다, 제시하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음식을 주는 역할
flask 프레임워크로부터 render_template을 import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다.
render_template 함수를 통해 index.html을 찾아서 서버에게 제공한다.
그게 사실이야?
확인하기 위해 log를 찍어보자.(log:일지, 기록,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다 기록하는게 로그라고 생각하자)
로그 명령어
clear: 터미널 화면 초기화
ls : list directory contents, 해당 폴더에 있는 파일 리스트 출력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명 출력
cd : change directory, 폴더 변경
비동기 쉽게 페이지 새로고침 안하고 호출하는 방법
2.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
default = GET
GET 방식과 POST 방식은 뭐가 다른가요?
둘 다 파라미터를 주고 받음
GET : 파라미터를 노출. 간단한 렌더링을 할 때만 사용
ex) 노출되도 괜찮은 정보들
POST : 파라미터를 노출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DB 통신을 할 때 사용
ex) 아이디/패스워드 노출하면 좋지 않다.
- parameter = 매개변수
3. 비동기 방식에 대한 설명
- 동기(synchronism) : 같은 시기
젓가락 -> 숟가락 -> 에피타이저 주세요. 순차적인 요청 처리
- 비동기(asynchronism)
하나 하나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앞의 것을 기다리지 않고도 일을 처리할 수 있음
비동기방식을 구현한 좋은 예시↓
'매일 해내는 개발 > Deve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강]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기초 (0) | 2022.11.16 |
---|---|
[WIL] 내일배움캠프 2주차 회고록 (0) | 2022.11.13 |
[TIL] 5일차 회고록 (0) | 2022.11.07 |
[WIL] 내일배움캠프 1주차 회고록 겸 유사 일기 (0) | 2022.11.07 |
[TIL] 11월 3일 4일차 회고록 (0) | 2022.11.03 |
댓글